Featured image of post [Vocabulary] syndrome의 의미와 쓰임 - 명사 핵심 정리

[Vocabulary] syndrome의 의미와 쓰임 - 명사 핵심 정리

영어 명사 'syndrome'의 핵심 뜻(증후군, 징후군)을 정리한다. 의학적 증상의 집합을 나타내는 표현부터 사회적·문화적 현상을 설명하는 비유적 용법까지, 자주 쓰는 콜로케이션과 EN/KR 예문으로 다양한 맥락의 정확한 용법을 익힌다.

오늘은 명사 ‘syndrome’의 정확한 의미와 실제 쓰임을 정리한다. 이 단어는 의학에서 함께 나타나는 증상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특정 질환이나 상태를 특징짓는 징후들을 지칭한다. 또한 비유적으로 사회적·문화적 현상이나 행동 패턴을 설명할 때도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의학 및 일반 용어다.

syndrome의 핵심 의미 (명사)

증후군 (의학적 증상의 집합)

  • A syndrome is a group of symptoms that consistently occur together or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a set of associated symptoms.
    (증후군은 일관되게 함께 나타나는 증상들의 집합 또는 관련 증상들로 특징지어지는 상태다.)
  • Down syndrome is a genetic disorder caused by the presence of an extra chromosome.
    (다운증후군은 여분의 염색체 존재로 인한 유전 질환이다.)
  • Metabolic syndrome increases the risk of heart disease and diabetes.
    (대사증후군은 심장 질환과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 Chronic fatigue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extreme tiredness that doesn’t improve with rest.
    (만성피로증후군은 휴식으로도 개선되지 않는 극심한 피로가 특징이다.)

증후군 (비유적 사용 - 사회적/심리적 현상)

  • Stockholm syndrome refers to a psychological response where hostages develop positive feelings toward their captors.
    (스톡홀름증후군은 인질이 납치범에 대해 긍정적 감정을 발달시키는 심리적 반응을 말한다.)
  • Imposter syndrome is the feeling that you don’t deserve your success.
    (가면증후군은 자신의 성공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느끼는 것이다.)
  • Many workers experience burnout syndrome due to excessive stress.
    (많은 근로자들이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번아웃증후군을 겪는다.)
  • The “Sunday night syndrome” describes anxiety about the upcoming work week.
    (“일요일 밤 증후군"은 다가오는 업무 주간에 대한 불안을 설명한다.)

어원

“syndrome"은 그리스어 “syndromē"에서 유래했으며, “syn-"(함께)와 “dromos”(달리기, 경로)가 결합된 형태다. 문자 그대로 “함께 달리는 것”, 즉 “함께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16세기 중반 의학 용어로 영어에 도입되었으며, 원래는 “동시에 발생하는 증상들"을 지칭했다. 현대 의학의 발달과 함께 특정 질환을 특징짓는 증상 집합을 나타내는 전문 용어로 확립되었고, 20세기 후반부터는 심리학과 사회학에서도 비유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자주 쓰는 패턴과 콜로케이션

의학적 맥락

  • have/suffer from a syndrome: 증후군을 앓다
    • suffer from chronic fatigue syndrome
  • diagnose with a syndrome: 증후군으로 진단받다
    • be diagnosed with Down syndrome
  • develop a syndrome: 증후군이 발생하다
    • develop metabolic syndrome
  • treat a syndrome: 증후군을 치료하다
    • treat irritable bowel syndrome

증후군의 유형

  • genetic syndrome: 유전 증후군
    • Down syndrome, Turner syndrome
  • metabolic syndrome: 대사 증후군
  • psychological syndrome: 심리 증후군
    • imposter syndrome, Stockholm syndrome
  • chronic syndrome: 만성 증후군
    • chronic fatigue syndrome
  • rare syndrome: 희귀 증후군
  • common syndrome: 흔한 증후군

증상 관련

  • syndrome symptoms: 증후군 증상
    • recognize syndrome symptoms
  • syndrome signs: 증후군 징후
  • syndrome characteristics: 증후군 특징
  • syndrome features: 증후군 특성

진단/치료

  • syndrome diagnosis: 증후군 진단
    • early syndrome diagnosis
  • syndrome treatment: 증후군 치료
    • effective syndrome treatment
  • syndrome management: 증후군 관리
    • long-term syndrome management
  • syndrome prevention: 증후군 예방

자주 결합하는 동사

  • have, suffer from (앓다)
  • develop, acquire (발생하다, 얻다)
  • diagnose, identify (진단하다, 확인하다)
  • treat, manage (치료하다, 관리하다)
  • prevent (예방하다)
  • characterize, define (특징짓다, 정의하다)

자주 결합하는 형용사

  • genetic, hereditary (유전적인)
  • chronic, acute (만성의, 급성의)
  • rare, common (희귀한, 흔한)
  • serious, severe (심각한)
  • mild (경미한)
  • clinical, medical (임상적인, 의학적인)

비슷한 말과 차이

유사 표현

  • disorder: 장애. ‘syndrome’보다 넓은 개념. 정상 기능의 혼란을 의미.
  • disease: 질병. ‘syndrome’보다 원인이 명확한 질환. 특정 병인이 있음.
  • condition: 상태, 질환. ‘syndrome’보다 일반적이고 중립적. 건강 상태 전반.
  • illness: 질병, 아픔. ‘syndrome’보다 비격식적. 주관적 느낌 포함.
  • ailment: 질환. ‘syndrome’보다 경미한 질환. 비격식적.

관련 명사

  • symptom: 증상. ‘syndrome’은 증상들의 집합, ‘symptom’은 개별 증상.
  • sign: 징후. ‘syndrome’은 징후들의 패턴을 포함.
  • diagnosis: 진단. ‘syndrome’은 진단의 대상이 될 수 있음.
  • pathology: 병리. ‘syndrome’의 원인과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분야.
  • complication: 합병증. ‘syndrome’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음.

구별 포인트

  • syndrome vs. disease: ‘syndrome’은 증상 집합에 초점, ‘disease’는 원인과 병리에 초점
  • syndrome vs. disorder: ‘syndrome’은 더 구체적인 증상 패턴, ‘disorder’는 더 넓은 기능 장애
  • syndrome vs. condition: ‘syndrome’은 특정 증상 조합, ‘condition’은 일반적인 건강 상태

문법/표기 포인트

  • 품사: 명사 (noun), 가산 명사
  • 발음: /ˈsɪndrəʊm/ (영국식), /ˈsɪndroʊm/ (미국식)
  • 복수형: syndromes
  • 형용사형: syndromic (증후군의, 증후군과 관련된)
  • 격식도: 중립적~격식적. 의학적, 전문적 맥락에서 자주 사용.
  • 뉘앙스: 전문적, 객관적. 의학 용어로서 중립적이나, 비유적 사용 시 부정적 함의 가능.
  • 관사: 특정 증후군은 “the"와 함께 사용 (the metabolic syndrome), 일반적으로는 부정관사 사용 (a syndrome)

주요 표현과 숙어

일반 표현

  • suffer from a syndrome: 증후군을 앓다
    • He suffers from chronic fatigue syndrome.
  • be diagnosed with a syndrome: 증후군으로 진단받다
    • She was diagnosed with Down syndrome at birth.
  • have symptoms of a syndrome: 증후군의 증상이 있다
    • He has symptoms of metabolic syndrome.
  • develop a syndrome: 증후군이 발생하다
    • Some people develop this syndrome later in life.

의학 표현

  • clinical syndrome: 임상 증후군
    • The clinical syndrome includes fever and fatigue.
  • syndrome presentation: 증후군 발현
    • The syndrome presentation varies among patients.
  • syndrome progression: 증후군 진행
    • Monitor the syndrome progression carefully.
  • syndrome etiology: 증후군 병인
    • The syndrome etiology is not fully understood.

비유적 표현

  • imposter syndrome: 가면증후군
    • Many successful people experience imposter syndrome.
  • Stockholm syndrome: 스톡홀름증후군
    • The hostage showed signs of Stockholm syndrome.
  • burnout syndrome: 번아웃증후군
    • Burnout syndrome is common in high-stress jobs.
  • Sunday night syndrome: 일요일 밤 증후군
    • I always get Sunday night syndrome before work.

예문 모음 (EN/KR)

정의/일반

  1. A syndrome is a group of symptoms that consistently occur together.
    (증후군은 일관되게 함께 나타나는 증상들의 집합이다.)

  2. Medical professionals use the term syndrome to describe a collection of related symptoms.
    (의료 전문가들은 관련 증상들의 집합을 설명하기 위해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3. Not all syndromes have a known cause or cure.
    (모든 증후군이 알려진 원인이나 치료법을 가진 것은 아니다.)

  4. A syndrome is different from a disease because it may not have a single identifiable cause.
    (증후군은 단일한 식별 가능한 원인이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질병과 다르다.)

  5. The term syndrome is used in both medical and psychological contexts.
    (증후군이라는 용어는 의학적 맥락과 심리학적 맥락 모두에서 사용된다.)

유전/선천적 증후군

  1. Down syndrome is caused by an extra copy of chromosome 21.
    (다운증후군은 21번 염색체의 추가 복사본으로 인해 발생한다.)

  2. Turner syndrome affects only females and is caused by a missing X chromosome.
    (터너증후군은 여성에게만 영향을 미치며 X 염색체 결손으로 인해 발생한다.)

  3. Genetic syndromes can be inherited or occur spontaneously.
    (유전 증후군은 유전되거나 자연발생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4. Prenatal testing can detect some genetic syndromes before birth.
    (산전 검사는 출생 전에 일부 유전 증후군을 발견할 수 있다.)

  5. Children with genetic syndromes often require specialized medical care.
    (유전 증후군을 가진 아이들은 종종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가 필요하다.)

대사/신체적 증후군

  1. Metabolic syndrome increases the risk of heart disease, stroke, and diabetes.
    (대사증후군은 심장 질환, 뇌졸중,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2. Irritable bowel syndrome affects the large intestine and causes cramping and bloating.
    (과민성대장증후군은 대장에 영향을 미치고 경련과 복부팽만을 유발한다.)

  3. Carpal tunnel syndrome results from pressure on the median nerve in the wrist.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의 정중신경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발생한다.)

  4. Chronic fatigue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extreme tiredness that doesn’t improve with rest.
    (만성피로증후군은 휴식으로도 개선되지 않는 극심한 피로가 특징이다.)

  5. Restless leg syndrome causes an irresistible urge to move the legs.
    (하지불안증후군은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참을 수 없는 충동을 유발한다.)

심리/정신적 증후군

  1. Stockholm syndrome occurs when hostages develop positive feelings toward their captors.
    (스톡홀름증후군은 인질이 납치범에 대해 긍정적 감정을 발달시킬 때 발생한다.)

  2. Imposter syndrome makes successful people feel like frauds despite their achievements.
    (가면증후군은 성공한 사람들이 성취에도 불구하고 사기꾼처럼 느끼게 만든다.)

  3.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can develop after experiencing a traumatic event.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은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한 후 발생할 수 있다.)

  4. Burnout syndrome is increasingly common in high-stress professions.
    (번아웃증후군은 고스트레스 직업에서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

  5.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syndrome affects both children and adults.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증후군은 아동과 성인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진단/증상

  1. Doctors diagnose syndromes based on a combination of symptoms and test results.
    (의사들은 증상과 검사 결과의 조합을 바탕으로 증후군을 진단한다.)

  2. Early diagnosis of a syndrome can lead to better treatment outcomes.
    (증후군의 조기 진단은 더 나은 치료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3. The symptoms of this syndrome can vary widely from person to person.
    (이 증후군의 증상은 사람마다 크게 다를 수 있다.)

  4. Some syndromes are difficult to diagnose because their symptoms overlap with other conditions.
    (일부 증후군은 증상이 다른 질환과 겹치기 때문에 진단하기 어렵다.)

  5. Blood tests can help identify certain syndromes.
    (혈액 검사는 특정 증후군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치료/관리

  1. There is no cure for this syndrome, but symptoms can be managed.
    (이 증후군에 대한 치료법은 없지만 증상은 관리할 수 있다.)

  2. Treatment for the syndrome focuses on relieving symptoms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증후군 치료는 증상 완화와 삶의 질 개선에 초점을 맞춘다.)

  3. Lifestyle changes can help manage metabolic syndrome.
    (생활 습관 변화는 대사증후군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4. Physical therapy is often recommended for carpal tunnel syndrome.
    (물리 치료는 손목터널증후군에 자주 권장된다.)

  5. Medication can help control the symptoms of many syndromes.
    (약물은 많은 증후군의 증상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원인/위험 요인

  1. The exact cause of chronic fatigue syndrome is unknown.
    (만성피로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2. Obesity is a major risk factor for metabolic syndrome.
    (비만은 대사증후군의 주요 위험 요인이다.)

  3. Repetitive hand motions can lead to carpal tunnel syndrome.
    (반복적인 손 동작은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다.)

  4. Stress and overwork are common causes of burnout syndrome.
    (스트레스와 과로는 번아웃증후군의 흔한 원인이다.)

  5. Some syndromes have a genetic component that runs in families.
    (일부 증후군은 가족 내에서 나타나는 유전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영향/결과

  1. The syndrome can significantly impact a person’s daily life and activities.
    (증후군은 사람의 일상생활과 활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Living with a chronic syndrome requires ongoing medical care and support.
    (만성 증후군과 함께 살아가는 것은 지속적인 의료 서비스와 지원이 필요하다.)

  3. The syndrome affects not only the patient but also their family members.
    (증후군은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4. Untreated metabolic syndrome can lead to serious health complications.
    (치료하지 않은 대사증후군은 심각한 건강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5. The psychological impact of having a syndrome can be as challenging as the physical symptoms.
    (증후군을 가진 것의 심리적 영향은 신체적 증상만큼이나 어려울 수 있다.)

연구/이해

  1. Medical researchers continue to study the causes and treatments of various syndromes.
    (의학 연구자들은 다양한 증후군의 원인과 치료법을 계속 연구하고 있다.)

  2.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a syndrome is crucial for developing effective treatments.
    (증후군의 기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하다.)

  3. New syndromes are occasionally identified as medical knowledge advances.
    (의학 지식이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증후군이 때때로 확인된다.)

  4. Clinical trials are testing new therapies for rare syndromes.
    (임상 시험은 희귀 증후군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테스트하고 있다.)

  5. Patient registries help researchers learn more about uncommon syndromes.
    (환자 등록부는 연구자들이 드문 증후군에 대해 더 많이 배우는 데 도움이 된다.)

사회적/문화적 맥락

  1. The term “syndrome” is sometimes used loosely in popular culture to describe behavioral patterns.
    (“증후군"이라는 용어는 대중문화에서 행동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때때로 느슨하게 사용된다.)

  2. Awareness campaigns help reduce stigma associated with certain syndromes.
    (인식 캠페인은 특정 증후군과 관련된 낙인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3. Support groups provide valuable resources for people living with syndromes.
    (지원 그룹은 증후군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귀중한 자원을 제공한다.)

  4. Insurance coverage for syndrome treatment varies widely.
    (증후군 치료에 대한 보험 적용 범위는 매우 다양하다.)

  5. Educational programs help the public understand what it means to live with a syndrome.
    (교육 프로그램은 대중이 증후군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한눈에 정리

  • ‘syndrome’ (명사) = 증후군, 징후군 (함께 나타나는 증상들의 집합)
  • 핵심 패턴: have/suffer from a syndrome, be diagnosed with a syndrome, develop a syndrome, treat/manage a syndrome
  • 발음: /ˈsɪndrəʊm/ (영국식), /ˈsɪndroʊm/ (미국식)
  •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 의학(질환 진단), 심리학(심리적 현상), 사회학(행동 패턴)
  •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뉘앙스. 의학 용어로서 중립적.
  • 주요 유형: genetic syndrome (유전 증후군), metabolic syndrome (대사 증후군), psychological syndrome (심리 증후군)
  • 관련어: symptom (증상), disorder (장애), disease (질병), condition (상태)
  • 가산 명사로 사용됨 (a syndrome, syndromes)
  • 비유적 사용: 사회적·문화적 현상이나 행동 패턴을 설명할 때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