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image of post [Troubleshooting] Cursor Agent PowerShell 멈춤 - PS7 전환 가이드

[Troubleshooting] Cursor Agent PowerShell 멈춤 - PS7 전환 가이드

Windows에서 Cursor Agent 모드가 PowerShell 명령 실행 후 멈추거나 출력 동기화가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가이드입니다. PS7 전환, 터미널 설정 초기화, CMD/Git Bash/WSL 대안, MCP 우회까지 핵심만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Windows에서 Cursor Agent 모드를 사용할 때 PowerShell 명령 실행이 멈추거나, 에이전트가 완료를 기다리지 못하고 오판하는 현상이 빈번히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Windows PowerShell 5.1 환경에서 && 체이닝, 출력 동기화, PSReadLine 예외 등으로 작업이 중단되거나 재시도가 남발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 글은 가장 재현성이 높은 해결책부터 순서대로 정리합니다.

빠른 결론

  • PowerShell 7(pwsh)로 기본 쉘을 전환하면 대부분의 문제(체이닝/동기화/잘못된 플래그)가 크게 완화됩니다.
  • 5.1을 써야 한다면 터미널 설정 초기화, ; 체이닝 강제, 또는 CMD/Git Bash/WSL로 전환하세요.
  • 통합 터미널 불안정이 계속되면 PowerShell MCP 서버로 명령 실행을 우회하는 방법이 유효합니다.

PowerShell 버전 확인

1
2
$PSVersionTable.PSVersion
$PSVersionTable.PSEdition
1
pwsh --version

PowerShell 7 설치

1
2
# 더 많은 정보: 42jerrykim.github.io
winget install --id Microsoft.PowerShell --source winget -e

Cursor에서 기본 쉘을 pwsh로 지정

직접 설정하려면 %APPDATA%\Cursor\User\settings.json에 다음 항목을 추가/수정하세요.

 1
 2
 3
 4
 5
 6
 7
 8
 9
10
{
  "terminal.integrated.defaultProfile.windows": "PowerShell",
  "terminal.integrated.profiles.windows": {
    "PowerShell": {
      "path": "C:\\Program Files\\PowerShell\\7\\pwsh.exe",
      "args": ["-NoLogo", "-NoProfile"],
      "icon": "terminal-powershell"
    }
  }
}

적용 후 Cursor를 재시작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PowerShell 5.1을 계속 써야 한다면

  • 터미널 설정 초기화: 설정에서 @feature:terminal @modified 검색 → terminal.integrated.* 값들을 Reset
  • 체이닝은 && 대신 ; 사용하도록 프롬프트에 명시하거나, 기본 쉘을 Command Prompt/Git Bash로 전환
  • 인라인 출력 가시성 개선: Terminal > “Use Preview Box” 토글

추가 팁

  • 실행 정책으로 .ps1 실행이 막히는 경우:
1
Set-ExecutionPolicy -Scope CurrentUser -ExecutionPolicy RemoteSigned -Force
  • 관리자 권한으로 Cursor 실행이 도움이 된 사례 존재
  • 인라인 터미널이 “멈춘” 듯 보이면 해당 박스에 포커스 후 Enter, 또는 백그라운드로 보내고 출력만 복사해 대화로 전달

통합 터미널 우회: PowerShell MCP 서버

통합 터미널의 출력 동기화/대기 문제가 빈번하다면, PowerShell MCP 서버를 구성해 에이전트 명령을 MCP 경로로 우회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에 종속되지 않는 전역 MCP 서버로 만들면 새 프로젝트에서도 재활용 가능합니다.

참고 자료

이 글의 핵심은 “PS7 전환 + 터미널 설정 정리”만으로도 Agent 모드의 실패율이 체감될 정도로 줄어든다는 점입니다. 나머지 대안(CMD/Git Bash/WSL 전환, MCP 서버 우회)은 환경 제약이 있을 때 선택적으로 적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