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의 각 도시에서 수도까지 메시지를 가장 빨리 전달하는 최소 시간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도시 i는 출발 준비 시간 S_i와 1km당 이동 시간 V_i를 가지며, 유일한 최단 경로를 따라 이동 중 중간 도시에서 다른 전령에게 넘길 수 있습니다. dp[u]를 루트까지의 거리 dist[u]를 이용해 dp[u] = S_u + V_u·dist[u] + min_{조상 x}(dp[x] − V_u·dist[x])로 정리하고, 조상 집합에 대한 직선 최소값 질의를 처리하기 위해 Li Chao Tree(선형함수 컨벡스 헐 트릭)를 트리 경로에 영속적으로 유지(퍼시스턴스)하여 각 정점에서 O(log C)에 답합니다. 64비트 정수 및 곱셈 시 128비트 캐스팅으로 오버플로를 방지합니다.
팀의 난이도(같은 팀에서 일을 못하는 쌍/인원)를 최대화하는 문제는 최대밀도부분그래프와 동치입니다. r에 대해 |E(S)|-r|S|를 최대화하는 파라메트릭 최소절단을 구성하고 이분 탐색으로 r*를 찾은 뒤, 절단의 S측에서 최적 팀을 복원합니다. n≤100, m≤1000에서 안전합니다.
좌·우수법(Left/Right-hand rule)으로 정의되는 두 개의 표준 경로를 계산하고, 2차원 누적합으로 직사각형 내부 경로/장애물 포함 여부를 O(1)에 판정합니다. 각 좌표별로 ‘막히는 최소 정사각형 크기’와 ‘설치 가능한 최대 정사각형 크기’를 각각 이분 탐색해 교집합이 존재하면 정답 후보로 갱신하여, 가장 작은 변의 길이와 위치를 찾습니다.
회의 구간을 최대 개수로 선택하면서 사전순(lexicographical)으로 가장 이른 해를 출력하는 문제. 시작 시각 기준 정렬, 선행 회의의 이진 점프(sparse table)로 f(l,r)를 O(log n)에 계산하고, 구간 경계 map을 유지해 포함 여부를 O(log n)에 증명·선택한다. 전체 O(n log n).
IOI 2009 상인 문제. 집 S에서 출발·복귀하며 U/D 비용으로 강을 오르내리며 시장을 방문해 이익 합을 최대로 한다. 날짜별 비내림 방문 제약을 활용해 좌/우 이동 비용을 선형식으로 흡수한 최대 변환과 같은 날 내부 양방향 스위핑 DP를 결합, 좌표압축+펜윅 트리로 O(N log N) 최적 이익을 계산한다.
여러 직사각형 땅을 묶어 살 때 비용은 (묶음 내 최대 W)*(묶음 내 최대 H)입니다. W 오름차순 정렬 후 같은 W는 최대 H로 병합하고, 뒤에서 앞으로 보며 지배된 직사각형을 제거해 H를 단조 감소로 만듭니다. 이후 dp[i]=min(dp[k]+W[i]*H[k+1])를 단조 Convex Hull Trick으로 O(n)에 계산하며, 정수 교차 비교와 __int128 중간 연산으로 오버플로를 방지합니다.
수평 바닥을 구간 높이 배열로 모델링한 뒤, 최소 높이 기준으로 구간을 분할하는 카르테시안 트리를 구성해 각 노드 직사각형 넓이를 계산합니다. 분할로 얻는 이득을 우선순위 큐에 넣어 상위 K개를 합하면 최대 배수량을 얻습니다. 구현은 O(N)~O(N log N)으로 안정적이며, 64-bit 정수 오버플로와 구간 경계 처리, 입력 형식 차이 등을 면밀히 점검합니다.
볼록 다각형에서 선분을 서로 교차시키지 않고 기존 선분의 끝점과도 겹치지 않게 잇는 게임을 스프라그–그런디 정리로 모델링합니다. 한 번의 선택이 다각형을 두 부분으로 분할한다는 불변식에서 g[n]=mex{g[a]⊕g[n-2-a]}를 세우고, O(N^2) DP로 승패(1/2)를 판정합니다. 엣지/실수 포인트 점검 포함.
정책-1(승객 자유 좌석 선택)·정책-2(운영자 일괄 배정)에서 필요한 최소 좌석 s1·s2 계산. s2는 라인 스위핑으로 최대 동시 탑승, s1은 n−endPrefix[a]−startSuffix[b]의 최댓값. [a,b) 경계·누적/접미합·빠른 I/O, 엣지·실수 포인트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