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평 바닥을 구간 높이 배열로 모델링한 뒤, 최소 높이 기준으로 구간을 분할하는 카르테시안 트리를 구성해 각 노드 직사각형 넓이를 계산합니다. 분할로 얻는 이득을 우선순위 큐에 넣어 상위 K개를 합하면 최대 배수량을 얻습니다. 구현은 O(N)~O(N log N)으로 안정적이며, 64-bit 정수 오버플로와 구간 경계 처리, 입력 형식 차이 등을 면밀히 점검합니다.
볼록 다각형에서 선분을 서로 교차시키지 않고 기존 선분의 끝점과도 겹치지 않게 잇는 게임을 스프라그–그런디 정리로 모델링합니다. 한 번의 선택이 다각형을 두 부분으로 분할한다는 불변식에서 g[n]=mex{g[a]⊕g[n-2-a]}를 세우고, O(N^2) DP로 승패(1/2)를 판정합니다. 엣지/실수 포인트 점검 포함.
정책-1(승객 자유 좌석 선택)·정책-2(운영자 일괄 배정)에서 필요한 최소 좌석 s1·s2 계산. s2는 라인 스위핑으로 최대 동시 탑승, s1은 n−endPrefix[a]−startSuffix[b]의 최댓값. [a,b) 경계·누적/접미합·빠른 I/O, 엣지·실수 포인트 점검.
고도 h≤L에서만 풍선을 불 수 있고 한 번 불 때마다 D만큼 상승한다. 최대 몇 개의 풍선을 순서대로 사용할 수 있는지 구한다. E=L+D 오름차순 정렬 + 최대 힙으로 누적 D를 관리하며, 누적이 현재 E를 초과하면 가장 큰 D를 제거한다. 교환 논법으로 그리디 정당화, O(N log N), 64비트 정수 주의.
XOR 가중치 완전그래프의 MST를 비트 최상위부터 그룹을 나누는 분할정복과 이분 트라이로 계산합니다. 각 레벨에서 교차 간선 비용을 2^b + 하위 최소 XOR로 구해 전체 비용을 누적합니다. 구현 포인트와 코너 케이스, C++·Python 코드와 정당성 근거까지 정리했습니다.
세 정점의 외심은 세 정점까지의 거리가 같으면서 그 거리가 최소가 되는 정점입니다. LCA·깊이로 세 경로의 교점 S를 찾고, 두 작은 팔 길이의 동일성과 큰 팔과의 짝수 차이를 이용해 존재·위치를 판정합니다. BFS+Binary Lifting로 O((N+Q)logN)에 해결합니다.
각 별자리는 s≤30의 트리로 주어집니다. 위상(동형)만을 비교하므로 번호를 무시하고 트리 중심에서 AHU 문자열 정규형을 만들어 대표값을 구한 뒤, 두 중심일 땐 사전순 최소를 택해 중복을 제거합니다. 서로 다른 정규형의 개수가 한 우주에 공존 가능한 별자리 최대 수가 됩니다. 전체 별 수 합 ≤1e6 조건에서 선형에 가깝게 처리되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