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I 2009 상인 문제. 집 S에서 출발·복귀하며 U/D 비용으로 강을 오르내리며 시장을 방문해 이익 합을 최대로 한다. 날짜별 비내림 방문 제약을 활용해 좌/우 이동 비용을 선형식으로 흡수한 최대 변환과 같은 날 내부 양방향 스위핑 DP를 결합, 좌표압축+펜윅 트리로 O(N log N) 최적 이익을 계산한다.
여러 직사각형 땅을 묶어 살 때 비용은 (묶음 내 최대 W)*(묶음 내 최대 H)입니다. W 오름차순 정렬 후 같은 W는 최대 H로 병합하고, 뒤에서 앞으로 보며 지배된 직사각형을 제거해 H를 단조 감소로 만듭니다. 이후 dp[i]=min(dp[k]+W[i]*H[k+1])를 단조 Convex Hull Trick으로 O(n)에 계산하며, 정수 교차 비교와 __int128 중간 연산으로 오버플로를 방지합니다.
수평 바닥을 구간 높이 배열로 모델링한 뒤, 최소 높이 기준으로 구간을 분할하는 카르테시안 트리를 구성해 각 노드 직사각형 넓이를 계산합니다. 분할로 얻는 이득을 우선순위 큐에 넣어 상위 K개를 합하면 최대 배수량을 얻습니다. 구현은 O(N)~O(N log N)으로 안정적이며, 64-bit 정수 오버플로와 구간 경계 처리, 입력 형식 차이 등을 면밀히 점검합니다.
볼록 다각형에서 선분을 서로 교차시키지 않고 기존 선분의 끝점과도 겹치지 않게 잇는 게임을 스프라그–그런디 정리로 모델링합니다. 한 번의 선택이 다각형을 두 부분으로 분할한다는 불변식에서 g[n]=mex{g[a]⊕g[n-2-a]}를 세우고, O(N^2) DP로 승패(1/2)를 판정합니다. 엣지/실수 포인트 점검 포함.
정책-1(승객 자유 좌석 선택)·정책-2(운영자 일괄 배정)에서 필요한 최소 좌석 s1·s2 계산. s2는 라인 스위핑으로 최대 동시 탑승, s1은 n−endPrefix[a]−startSuffix[b]의 최댓값. [a,b) 경계·누적/접미합·빠른 I/O, 엣지·실수 포인트 점검.
고도 h≤L에서만 풍선을 불 수 있고 한 번 불 때마다 D만큼 상승한다. 최대 몇 개의 풍선을 순서대로 사용할 수 있는지 구한다. E=L+D 오름차순 정렬 + 최대 힙으로 누적 D를 관리하며, 누적이 현재 E를 초과하면 가장 큰 D를 제거한다. 교환 논법으로 그리디 정당화, O(N log N), 64비트 정수 주의.
XOR 가중치 완전그래프의 MST를 비트 최상위부터 그룹을 나누는 분할정복과 이분 트라이로 계산합니다. 각 레벨에서 교차 간선 비용을 2^b + 하위 최소 XOR로 구해 전체 비용을 누적합니다. 구현 포인트와 코너 케이스, C++·Python 코드와 정당성 근거까지 정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