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개의 점과 m개의 직사각형 [l,r]×[b,t]가 주어질 때, 각 직사각형 안의 점 개수를 모두 합한 값을 구한다. x를 기준으로 오프라인 스위핑을 수행하고, y는 좌표 압축 후 펜윅 트리(Fenwick Tree)로 누적 빈도를 관리한다. 쿼리는 (r,+1),(l-1,−1) 이벤트로 분해해 포함-배제를 구현하여 총합을 O((n+m) log n)에 계산한다. 64비트 누적, 경계(b=0) 처리, 중복 좌표 대응을 주의한다.
이 문제는 직원-일 이분 그래프에서 임금 비용을 최소화하며 가능한 한 많은 일을 배정하는 과제입니다. 최소 비용 최대 유량(MCMF)로 모델링하여 Dijkstra+잠재치(Johnson)로 음수 없는 보정 비용을 사용, 유량 1씩 확장하며 비용 합을 최소화합니다. 제약(N,M≤400, 임금≤10^4)에 맞춰 O(F·E·logV)로 안정적으로 통과합니다.
H×W 격자에서 점을 하나 고르면 그 행·열 전체가 벽이 되어 보드가 네 개의 직사각형 서브게임으로 분할됩니다. 표시 칸(X)은 선택 불가이지만 벽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스프라그-그런디 정리로 각 서브직사각형의 그런디 수를 XOR해 승자를 판단하며, 메모이제이션을 적용한 사각형 분해 DP로 최적 풀이를 구현합니다.
트리 위 두 회사 공장 집합 A, B 사이의 최소 거리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LCA 전처리 후 질의마다 A∪B와 인접 LCA들로 버추얼 트리를 만들고, 두 번의 DP로 각 정점의 A까지/ B까지 최단거리를 구해 min(dA+dB)로 답합니다. O((|A|+|B|)logN)으로 6초 제한을 안정 통과합니다.
연속한 L칸을 G개의 구간으로 분할해 각 구간 비용을 (길이×구간합)으로 정의하고 총합을 최소화합니다. dp[g][r]=min(dp[g-1][k]+cost(k+1,r))를 이용해 분할정복 최적화로 O(G·L·logL)에 해결하며, 누적합으로 O(1) 구간비용·경계·64비트 오버플로를 꼼꼼히 점검합니다.